일 | 월 | 화 | 수 | 목 | 금 | 토 |
---|---|---|---|---|---|---|
1 | ||||||
2 | 3 | 4 | 5 | 6 | 7 | 8 |
9 | 10 | 11 | 12 | 13 | 14 | 15 |
16 | 17 | 18 | 19 | 20 | 21 | 22 |
23 | 24 | 25 | 26 | 27 | 28 |
- 검버섯 레이저 시술 후기
- 에어매트
- 검버섯 레이저 한 달 후
- 검버섯 레이저 시술 경과
- 초청장 샘플
- 캠핑용 플라스틱 폴딩박스
- 리튬이온배터리 특송
- 배터리 포함제품 해외발송
- 긴급생계지원자금 대상확인
- 대구공항
- 백수 일기
- 캡티바 출력 저하 수리비
- 가정용프린터 민원24
- 티스토리 초대장
- 검버섯 레이저 후기
- 百词斩
- 가속시 바람소리
- 중위소득 확인법
- 캠핑용 폴딩박스
- between
- 내맘대로 웹툰 추천
- 필리핀 출장
- 샤프닝 머신
- 하이난 여행
- 출력저하 인터쿨러 호스
- 배터리 내장 전가기기 특송 발송
- antigua
- 삼성 컬러레이저프린터
- 과테말라 안티구아
- 캡티바 출력 저하 지시등
- Today
- Total
迷惑 & Nomad
FTA 원산지증명서 발급받기 (Ft. FORM AK 절망기) 본문
FTA 원산지증명서 발급받기
필리핀 고객사로부터 원산지증명서 요청을 받았다.
"We are asking if you have FORM AK (Free trade agreement from that is FORM E when the goods coming from China). This could reduce customs duty."
"Form AK"는 한아세안 FTA에 따른 원산지증명서로 수입자측이 관세혜택을 받기 위해 필요한 수출자가 제출해야하는 서류이다. 지금까지는 일반 원산지증명서를 제출하고 있었다.
문제는 이 고객사에게 수출하고 있는 아이템은 중국에서 OEM 생산하여 삼국간무역으로 진행하고 있기 때문에 Form AK 원산지증명서를 발급받을 수 없다.
지금까지는 잘 숨기고(?) 있었지만 결국 중국법인을 업체등록하는 수밖에 없을 것 같다. 위의 고객사 메일에도 있지만 중국과 아세안 국가간의 FTA는 "Form E"라는 원산지증명서를 제출하면 수입자가 관세 혜택을 받을 수 있게 된다.
원산지증명서는 통상 C/O로 불리고 "Certificate of Origin"의 약자이다. 해당 물품이 확실히 해당 국가에서 생산 또는 제조되었음을 증명하는 공문서로 세관 및 상공회의소에서 발급한다.
일반 원산지증명서(비특혜원산지증명서)는 보통 수출국에서 생산했다는 증명 정도로 쓰인다. Made in China 보다는 Made in Korea가 훨씬 높은 신뢰감을 준다,
FTA용 원산지증명서는 특혜원산지증명서로 관세혜택을 위한 목적으로 발급절차와 조건이 까다롭다.
FTA체결국 간의 조건에 따라 자율발급/기관발급으로 다르니 확인이 필요하다.
자율발급 원산지증명서는 양국간 정해진 서식에 따라 수출자가 작성해서 제출하면 되고,
기관발급은 세관 또는 상공회의소에 FTA 원산지증명서 발급을 위한 구비서류를 제출하여 발급받아야 한다.
사전에 관세법령 정보포털에서 해당 제품의 HS Code를 확인하여 특혜관세 품목에 해당하는지를 확인한다. 방법은 이전 포스팅 HS Code 조회 (관세 혜택 받기) 참조.
(대한상공회의소 무역인증센터 캡쳐)
FTA 발급신청서류
1) FTA 원산지증명서 발급신청서 - 웹페이지에서 전산으로 입력
2) 수출신고필증 - 수출신고번호를 전산으로 입력
3) 인보이스
4) 원산지(포괄)확인서, FTA BOM, 제조공정도 등 원산지입증서류
5) 원재료 구매(단가)입증서류 (ex. 거래명세서, 세금계산서)
6) 원재료 역내산증빙서류 및 기타 FTA 관련 서류
원산지 기준은 세부적으로 완전생산기준, 세번(HS 코드) 변경기준, 부가가치 기준이 있고, 각각의 기준별 원산지입증 제출서류가 다르다. 해당 제품이 어느 기준에 부합하는지 찾아보고 해당 기준에 맞게 신청해야 한다.
자세한 사항은 대한상공회의소 무역인증센터에서 확인할 수 있다.
(대한상공회의소 무역인증센터 홈페이지 캡쳐)
FTA 원산지증명서 발급 절차 / Flow
1. 해당 제품 HS Code 조회 (관세법령 정보포털)
2. 수출입국과 특혜협정 체결유무 및 자율/기관발급 원산지 증명 확인
3. 자율발급 ; 해당 양식 확인 및 자율발급
4. 기관발급 :
4-1. 해당 제품 원산지증명 결정기준 확인
4-2. 결정기준에 준하는 신청서류 준비 및 신청
어렵군... 날도 덥고, 마음도 덥고...
'Nomad Trade' 카테고리의 다른 글
중국산 육각너트 수입 견적 조사 (0) | 2017.08.17 |
---|---|
해외영업 실무|해외전시회 찾기 (2) | 2017.08.16 |
인보이스 작성 예시 | CIF단가 = FOB+운송료+보험료 인보이스 단가 분개하기 (0) | 2017.07.24 |
초청장 양식 (Invitation Letter sample for visa) (0) | 2017.07.19 |
HS Code 조회 (관세 혜택 받기) (0) | 2017.07.06 |